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월가보고서160

성장주와 경기민감주의 비중을 조정하기 전에 생각해야 할 것들-2023.07.15 성장주와 경기민감주의 비중을 조정하기 전에 생각해야 할 것들-2023.07.15 다시 달리는 성장주. 6월 소비자물가지수 (CPI)가 발표된 이후, 인플레이션이 일단 한 고비를 넘겼다는 평가에 시장은 안도.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9.4bp 하락하면서 3.8%를 하회. 미국 주요 주가지수도 모두 상승세를 지속하면서, S&P 500과 나스닥 지수는 연고점을 경신. 실질금리가 1주일 사이에 24.2bp 하락하면서 성장주가 상승세를 재개했고, 성장주를 대표하는 나스닥 100 지수의 연초 이후 상승률은 42.45%로 확대. S&P 500 24개 산업그룹을 성장, 경기민감, 경기방어로 분류해서 시가총액 가중 방식으로 계산한 지수를 보면, 성장 업종 지수의 수익률이 이틀 동안 2.99% 상승하면서 다.. 2023. 7. 15.
2023년 미국증시 전망 - 향후 10년간 2023년 미국증시 전망 - 향후 10년간 미국증시 과거 사례를 통해 향후 10년간 증시는 어떻게 될 것인지 장기적인 관점에서 전망 해봅니다. 미국은 위기 때마다 경기부양을 위해 미연준은 양적완화(QT)를 진행합니다. 양적완화는 달러를 발행하여 시장에 달러를 공급하는 정책을 말하는데, 시장에 달러가 증가하면 소비는 늘어나고 기업들의 실적은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주가는 상승합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막대한 화폐 발행은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게 되고, 이는 미연준이 기준금리 인상으로 달러의 가치를 다시 상승시키도록 합니다. 그다음 전 세계가 달러의 가치를 인정하게 될 즈음(인플레이션 하락)에는 기준금리를 다시 인하하게 되고, 시중에 유통되는 자금은 다시 유동성으로 남아있어 증시.. 2023. 6. 29.
2023년 하반기 미국증시 조정전망-실업률-2023.06.27 2023년 하반기 미국증시 조정전망으로 1차 실업률로 인한 조정 전망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실업률이 증가하면, 미연준이 더 이상 기준금리 인상을 하지 못할 것이라는 예상과 함께 경기침체가 발생할 것이라는 두 가지 의견이 존재하는데, 이미 상반기에 주가 상승에 대한 차익 실현으로 월가에서는 이익 실현을 위해 경기침체가 올 것이라는 리포트 발표와 함께 주식 시장을 어지럽게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럴 때 우리는 상승장에 진입을 못하였을 경우 매수의 기회로 삼거나,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매도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 이후 인플레이션을 했던 것은 공급망 차질(노란색)과 에너지(파란색)였는데, 2023년 부터는 노동시장(빨간색, 구인건수/실업자)이 현재 미국 인플레이.. 2023. 6. 27.
미국 상업용 부동산에 대한 월가 의견 - 2023년6월25일 미국 상업용 부동산에 대한 월가 의견으로 은행위기로 전이될 것이라는 주장과 이와는 반대로 심각한 침체를 부를 가능성이 적다는 주장이 있어 소개해 드립니다. 이번주 미증시 마감시황을 정리하다 보니, 부동산 관련 섹터의 주가는 -4.4% 하락하며, 11개 업종 중 가장 많이 하락하였는데요. 과연 미국 상업용 부동산에 대한 월가 예측 중 어떤 의견이 맞을 까요? [미국증시시황] - 주간 미증시 마감시황-2023년6월25일 주간 미증시 마감시황-2023년6월25일 주간 미증시 마감 시황으로 뉴욕증시는 다우 -2.07%, S&P500 -1.85%, 나스닥 -2.06% 하락으로 마감하였고, 섹터 모두 하락하였으며 부동산, 소재, 기술, 에너지 업종 순으로 하락하였습니다. 이번주에 있 lubi-happy.tistor.. 2023. 6. 25.
2023년 하반기 미국증시 조정시기 전망-2023.06.16 2023년 하반기 미국주식 조정시기 전망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은 빅테크 중심으로 큰 상승을 이어가고 있는데, 요즘은 뉴욕증시 주요 지수 S&P500은 20% 상승하고 올해 전고점을 갱신하며, 많은 매체에서 상승장에 접어들었다는 뉴스가 자주 등장하고 있습니다. 작년 말부터 올해 초까지 경기침체를 예상하며, 많은 월가 애널리스트들은 주가 하락을 예상하였습니다. 하지만 1분기 실적이 예상보다 큰 실적을 나타내며 빅테크 위주로 상승이 시작되었고 특히, AI 열풍으로 빅테크 위주의 주가는 더 큰 상승을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주식 시장이 항상 상승장만 있는 것은 아니고 조정 시기는 언제든 올 수 있습니다. 그럼 조정시기가 언제 올까요? 그동안 상승장의 수혜를 받지 못한 분들도 많이 있을 것인데요... 2023. 6. 16.
미부채한도 합의 후 이번주 미재무부 채권 발행 미부채한도 합의 후 미 재무부는 현재 700억 달러 규모인 재무부 일반계좌(TGA) 잔액을 4,250억 달러로 높여 놓겠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이번주부터 대규모 국채 발행이 시작됩니다. 월요일 12일에는 단기 국채(T-bill)를 1,230억 달러 발행하고, 3년물은 400억 달러, 10년물은 320억 달러를 함께 경매에 나섭니다. 모두 합치면 1,950억 달러 규모입니다. 이번주 화요일 6월 13일(현지시간 기준)에도 830억 달러 규모의 T-bill을 발행하고 30년물 국채도 180억 달러 규모의 발행을 시작합니다. 시장 분석가 의견 ▶ 라두 트레이딩 크레이크 샤피로 매크로 자문은 재무부의 다음 주 국채 순 발행액만 1,490억 달러에 달하며, 다음 주 15일에는 2분기 법인세로 500억 ~.. 2023. 6. 12.
사실상 긴축 - 기준 금리를 인상하지 않아도 되는 긴축 효과 금리를 올리지 않고 긴축 효과를 내는 사실상 긴축 정책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미국 은행 파산 등을 대비한 은행들의 대축 축소, 미국 부채한도 협상 타결에 따른 재무부 국채 대거 발행 예상에 따른 유동성 감소, Fed의 은행 위기 끝난 4월 이후 자산 규모 축소 QT(양적 긴축) 효과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시장에서는 6월에 기준금리 동결 후, 7월에 다시 상승하는 것에 배팅을 하고 있는데, 기준 금리 인상 없이 긴축 효과를 주는 요인 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은행 들의 대출 축소 - SLOOS(Senior Loan Officer Opinion Survey) 슬루스(SLOOS)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분기마다 발표하는 미국 고위 대출 책임자 의견 조사(Senior Loan Of.. 2023. 6. 6.
고용 일자리는 많은데 주가는 상승한 이유 발표된 고용 관련 일자리는 많은데, 주가는 왜 상승하였는지 이유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고용 일자리수 증가, 즉 일할 사람이 많이 필요하다는 뜻이죠. 일할 사람이 부족하면 임금을 더 올려서라도 일할 사람을 구할 것이고 그렇게 되면 임금 상승률이 높아져 인플레이션도 증가하기 때문에 고물가 시기인 지금 미연준과 주식시장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제지표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어제 일자리는 시장 예상보다 높게 나왔는데, 나스닥 +1.28%, S&P500 +0.90, 나스닥 +1.28%로 각각 상승하였습니다. 어제 뉴욕 주식 시장은 왜 상승하였을까요? 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자리 관련 경제 지표 신규실업수당 청구 건수(2023.05.27 발표 기준) ㅇ이전 주보다 2천건 증가한 23.2만 건으로 .. 2023. 6. 2.
2023년 하반기 미국증시 전망-2023.05.29 올해 2023년 하반기 미국주식 시장 전망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1990년대 시기와는 다른, 현재 고물가 인플레이션 시기는 1970년대 시기와 비슷한 시기로 이러한 인플레이션 시기에는 주가 흐름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인플레이션이 고점을 찍고 내려오는 디스인플레이션 시기에 주가는 상승하기 시작하였습니다. 1970년대 고물가 시대 주가 흐름 - 높은 물가로 인해 경기침체가 발생했던 스테그플레이션 시기 ㅇ 1차 오일 쇼크로 물가는 치솟기 시작 ㅇ 인플레이션이 고점을 찍고 내려오기 시작하면서, 나스닥 주가는 상승하기 시작함 ㅇ 2차 오일 쇼크 시기에도 인플레이션이 고점을 찍고 내려오는 디스인플레이션 추세를 보이자 나스닥 주가는 다시 상승 1990년대 저물.. 2023. 5. 29.
경기선행지수에 대한 월가 의견 경기선행지수(LEI)에 대한 월가 의견 최근 발표된 경기선행지수 Leaing Economic Index에 대한 월가에서 발표한 내용이 있어 소개해 드립니다. 콘퍼런스보드가 발표한 3월 경기선행지수는 전월보다 1.2% 하락한 108.4로 나왔습니다. 12개월 연속 하락해 2020년 11월 이후 가장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월가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경기 침체가 임박했다는 분석들이 많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경기침체가 오면 주가는 상승한다는 역발상 의견도 있습니다. 경기선행지수(LEI - Leading Economic Index)에 대한 월가 의견 - EPB리서치에 따르면 미국이 침체에 들어갈 때는 경기선행지수가 시차를 두고 3단계 신호를 나타냄. ㅇ 첫 번째가 선행지수가 미국의 장기 성장 추세인 2% 증가 .. 2023. 4.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