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023년 하반기 미국주식 시장 전망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1990년대 시기와는 다른, 현재 고물가 인플레이션 시기는 1970년대 시기와 비슷한 시기로 이러한 인플레이션 시기에는 주가 흐름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인플레이션이 고점을 찍고 내려오는 디스인플레이션 시기에 주가는 상승하기 시작하였습니다.
1970년대 고물가 시대 주가 흐름
- 높은 물가로 인해 경기침체가 발생했던 스테그플레이션 시기
ㅇ 1차 오일 쇼크로 물가는 치솟기 시작
ㅇ 인플레이션이 고점을 찍고 내려오기 시작하면서, 나스닥 주가는 상승하기 시작함
ㅇ 2차 오일 쇼크 시기에도 인플레이션이 고점을 찍고 내려오는 디스인플레이션 추세를 보이자 나스닥 주가는 다시 상승
1990년대 저물가 시대 주가 흐름
- 1990년대 저물가 시대 기준금리와 주가 흐름
ㅇ저물가 시대에는 기준금리가 오르면 주가도 함께 상승
실질 유동성 증가는 주식시장 상승에 영향
- 실질 유동성 증가율의 반등이 모멘텀을 개선시켜 주식시장 상승 영향
ㅇ저물가 시대에는 절대적으로 공급되는 화폐의 양(M2)이 중요했다면, 높은 인플레이션 시대에는 절대적 양보다는 영향력의 변화가 중요.
ㅇ 실질 유동성이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유동성(M2)에서 인플레이션이 반영된 유동성.
ㅇ M2가 실물 경제에 풀린 절대적인 화폐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라면,
실질 유동성은 물가를 고려하여 실질적으로 활용된다고 볼 수 있는 화폐의 가치를 측정한 것.
ㅇ 인플레이션이 낮아지면 추가적 화폐 공급 없이도 유동성이 높아지는 것과 같은 효과가 나타난다. 물가의 하락으로 화폐의 구매력이 상승하며 유동성 공급과 비슷한 효과가 나오는 것.
ㅇ 그리고 이는 주가시장의 상승으로 이어지는 모습을 보임.
또 다른 실질 유동성 증가
- 미연준 자산 증감 추이
ㅇ 지난 3월 SVB사태로 연준은 재할인 창구와 은행기간펀딩프로그램(BTFP)를 통해 은행에 직접 대출을 진행하며 대차대조표를 약 3,920억 달러 증가시킴
ㅇ 일반적으로 유동성 공급은 채권 매입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반적 QE(양적완화)와는 다른 조치이며 M2로 측정되지 않는 유동성.
ㅇ 미연준 자산 현황 https://fred.stlouisfed.org/series/WALCL#
Assets: Total Assets: Total Assets (Less Eliminations from Consolidation): Wednesday Level
Source: Board of Governors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US) Release: H.4.1 Factors Affecting Reserve Balances Units: Millions of U.S. Dollars, Not Seasonally Adjusted Frequency: Weekly, As of Wednesday Suggested Citation: Board of Governors of
fred.stlouisfed.org
ㅇ 그렇기에 유동성 축소 국면은 유지되면서도 제공된 유동성이 시장에 활발하게 유통되며 주가 상승에 영향을 주기도 함.
실업률과 주가와의 관계
- 1996년 부터 현재까지 팬데믹 이전까지 실업률과 주가
ㅇ노란색은 실업률(역축 : 그래프 상승 = 실업률 감소 의미)
ㅇ검은색 S&P500 주가
ㅇ1996년부터 코로나 팬데믹 이전까지는 저물가 시대로 실업률(역축)이 하락하면 S&P500은 상승하였음
- 1970년, 1975년 실업률과 주가흐름
ㅇ노란색은 실업률(정축 : 그래프 상승 = 실업률 증가 의미)
ㅇ검은색 S&P500 주가
ㅇ1970년대와 같이 고물가 시기에는 실업률이 상승하여도 주가는 상승하였음
ㅇ 즉, 인플레이션 시기에는
실업률이 주가에 큰 영향을 주기보다는 앞서 말한 인플레이션이 주가의 큰 변수로 작용함
마치면서
- 주가에 대한 단기적인 예측보다는 장기적인 측면에서 접근이 바람직합니다.
- 2022년 12월 월가애널리스트들은 모두 2024년에는 경기침체와 함께 주식 시장의 붕괴를 예상하였습니다.
- 2023년 연초부터 주식시장은 지속적인 상승을 하고 있는데요.
내가 투자하는 기업의 미래와 실적이 계속해서 성장해 나간다면, 단기적인 뉴스나 이슈보다는 큰 그림으로 투자하시길 권유드리며, 적절한 매수/매도 타이밍을 잡기보다는 분할 매수하는 습관으로 저축보다는 미국주식으로 자산을 장기적으로 키워나가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이상 2023년 하반기 미증시 전망 관련 포스팅입니다.
도움이 되다면 공감♥ 부탁드리며, 항상 성공투자 하시길 기원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