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엔비디아 하반기 주가 전망 - 건전한 조정, 포트폴리오 조정되면 다시 랠리
엔비디아가 최근 3.5% 이상 급락했지만 이는 건전한 조정이며, 각종 펀드의 포트폴리오(자산 배분) 조정이 완료되면 랠리를 재개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20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는 전거래일보다 3.54% 급락한 130.78달러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시총은 3조2170억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마이크로소프트(MS, 3조3130억달러)보다 적은 것이다. 이로써 하루 만에 다시 시총 1위 자리를 MS에 내주었다.
3% 급락은 건전한 조정
✅ 건전한 조정
▶ 엔비디아가 3% 이상 급락한 것은 그동안 급등에 따른 조정으로 보인다.
▶ 엔비디아는 올 들어 164%, 지난 1년간 206%, 지난 5년간 3316% 각각 폭등했다.
▶ 이에 따라 이날 급락은 건전한 조정이며 향후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는 것이 월가의 일반적 평가다.
각종 펀드 포트폴리오 조정
✅ 각종 펀드가 포트폴리오 조정을 하고 있다. 엔비디아가 급등하자 각종 펀드에서 엔비디아의 비중을 높이는 작업이 진행 중
▶ 미국 최대의 기술주 상장지수펀드(ETF)인 'XLK'에서 현재 엔비디아가 차지하는 비중은 5.9%에 불과하다.
▶ 이에 따라 XLK는 금요일 장 마감 이후 애플의 비중을 줄이는 대신 엔비디아의 비중은 22%로 높이기로 했다. 이번 주 조정을 완료하고 다음 주부터 적용할 예정이다.
미국주식 섹터별(업종별) ETF
▣ 목차 ▣ 미국주식 섹터별 대표 ETF에는 11개의 업종별로 구분하는 대표 ETF가 있습니다.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XLK,커뮤니케이션 서비스(Telecommunication Services) XLC,임의소비재(Consumer Discretiona
lubi-happy.tistory.com
▶ XLK는 이 과정에서 엔비디아 주식 110억 달러를 매입하고, 애플 주식 120억 달러를 매각할 전망이다.
▶ 다른 펀드들도 이 같은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각종 펀드의 포트폴리오 조정이 끝나면 엔비디아는 다시 상승 궤도에 진입할 가능성이 크다.
엔비디아 PER 터무니없이 높지는 않아
✅ 주가가 터무니없이 고평가된 것은 아니다.
▶ 현재 엔비디아의 주가수익비율(PER)은 약 77이다. 그러나 향후 12개월 동안 예상되는 순익을 대비하면 50대로 내려간다.
▶ PER는 보통 20 내외가 적당하다고 평가한다. 50이면 크게 높은 것이다. 하지만 월가를 대표하는 기술주로는 크게 높지 않다. 테슬라가 한창일 때는 100을 상회하기도 했었다.
✅ 매출 급증 지속될 것 : 무엇보다 매출이 급증하고 있다. 매출 급증으로 주가는 정당화될 수 있다. 엔비디아는 지난 분기 매출이 262%, 주당 순익은 461% 급증했다.
▶ 이뿐 아니라 이제는 빅테크 기업뿐만 아니라 국가도 나서고 있다. 중국, 사우디 등이 국가 차원에서 AI에 대규모 투자를 하기로 해 엔비디아의 AI 전용칩 수요가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 이는 엔비디아 매출을 약 100억달러 정도 증가시킬 전망이다.
▶ AI 칩 수요는 향후 10년 동안 10배 이상 증가해 2033년 엔비디아 연 매출은 3410억 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 앞으로도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주가는 상승할 수밖에 없다.
시스코 닷컴버블 당시 CEO 존 챔버스 - AI에 대한 의견
✅ 엔비디아가 여전히 시장 내러티브를 지배
▶ 6월 25일 엔비디아 주가는 아침부터 급락세를 지속했고 결국 6% 넘게 내렸습니다. 지난주 4월 이후 처음으로 주간 단위 첫 하락세를 기록한 뒤 내림세가 이어진 것입니다. 특별한 악재가 불거진 게 아닙니다.
▶ 악재는 단기에 너무 올라서 주가가 향후 12개월 예상 이익의 거의 45배에 육박했다는 것밖에 없습니다. 이는 지난 5년 평균 주가수익비율(P/E)보다 10% 이상 높은 수준이죠.
▶ 엔비디아는 여전히 지난 1년간 200% 가까이 주가가 오른 상태입니다.
▶ 그래서 일부에선 2000년 닷컴버블 때 대장주인 시스코, 인텔 등과 비교하고 있습니다. 시스코도 2000년 3월 마이크로소프트를 누르고 시총 1위에 오른 뒤 거품 붕괴가 시작됐었죠.
▶ 리처드 번스타인 리서치는 "기술 거품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투자자들은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있을 뿐이다. 엔비디아의 주가매출비율(P/S)은 지금 39배로 시스코의 당시 최고였던 34배보다 높다"라고 주장했습니다.
✅ 시스코의 닷컴버블 당시 CEO였던 존 챔버스
▶ AI는 시장 기회의 규모 측면에서 보면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을 합친 것과 같다. 변화의 속도는 다르고, 시장 규모도 다르고, 가장 가치 있는 기업이 된 시점도 다르다
✅ 데이터트랙 리서치
▶ "우리는 시장이 관심을 두는 모든 기준으로 볼 때 엔비디아가 1990년대 후반 인텔보다 훨씬 더 나은 회사라고 분석한다. 엔비디아는 우수한 마진, 더 나은 자산 회전율, 더 높은 자본 수익률을 누리고 있다. 확실히 닷컴버블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인텔보다 비즈니스가 확실히 더 좋다"라고 분석했습니다.
✅ 블랙록 투자연구소
▶ 미국 증시는 기술주 덕분에 사상 최고치 수준에 있다. 우리는 이익을 창출하는 소수의 빅테크 주가에 대해 시장 일부보다 덜 걱정하고 있다.
▶ 첫째, AI에 대한 시장의 기대는 높지만, 기술 기업들이 이런 높은 이익 기대치를 달성하고 뛰어넘으면서 그런 기대를 맞추고 있다.
▶ 둘째, 기술 분야의 마진이 시장을 주도해왔지만, 인플레이션 냉각에 따른 비용 압박 완화로 다른 부문에서도 마진이 회복되고 있다.
▶ "우리는 AI 테마에 대한 비중확대 의견을 유지하고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 젠슨 황 CEO는 "2024년뿐 아니라 2025년 이후에도 성장이 지속할 것이다. 기업, 산업뿐 아니라 국가들도 AI 역량에 투자하고 있다"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 제프리스
▶ "엔비디아는 여전히 황제이자 킹메이커로 남아 있다"라면서 오늘 목표주가를 135달러에서 150달러로 높였습니다.
이상 엔비디아 하반기 주가 전망 - 건전한 조정, 포트폴리오 조정되면 다시 랠리 관련 포스팅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드리며, 항상 성공투자 하시길 기원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