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OMC_잭슨홀미팅

2025년 3월 FOMC 파월의장 기자회견 한국시간 3월 20일 새벽 3시30분

by HS Investing Research 2025. 3. 16.

 

 

 

 

 

 

 

▣ 목차 ▣

    2025년 3월 FOMC 파월의장 기자회견 한국시간 3월 20일 새벽 3시30분

    2025년 3월 FOMC 파월의장 기자회견 한국시간 3월 20일 새벽 3시30분에 예정되어 있습니다.

    현지시간 기준  3월 18~19일 FOMC가 열리게 되며,  과연 Fed 풋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을 지 월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월가 예상을 알아보겠습니다.

     

    파월의장_기자회견
    파월의장_기자회견


    > 2025년 3월 FOMC에 대한 월가 예상

     점도표(2024년12월)

    2024년12월_FOMC_점도표
    2024년12월_FOMC_점도표

    ▶ 2025년 2차례 금리인하 전망

     

     BMO

    ▶기준금리

    동결. 4.25~4.50%로 유지할 것으로 예상

    ▶성명서

    경제에 대한 평가는 "견고한 속도로 계속 확장"에서 약간 완화될 것으로 본다. 다른 부분은 변화가 없을 것으로 생각

    ▶점도표

    12월 올해 두 차례(50bp)의 금리 인하를 예상했는데 그런 예상이 유지될 것

    ▶경제전망요약(SEP)

    더 느린 성장(2% 미만), 더 높은 실업률(최소 0.1%포인트), 더 빠른 인플레이션(하지만 여전히 3% 미만)을 제시할 것

     

     

     웰스파고

    ▶기준금리

    4.25~4.50%로 유지할 것으로 예상

    ▶성명서

    최근 성장과 노동 시장 둔화에 대한 언급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지만, 그 외에는 거의 변화가 없을 것

    ▶점도표

    여전히 올해 50bp 인하를 계속 제시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만약 움직임이 있다면 위험은 25bp가 아닌 75bp로 치우칠 것

    ▶SEP

    2025년 GDP 성장률은 2.0% 미만으로 조금 낮아질 것이다. 2025년 연말 실업률 추정치는 4.3% 유지가 적절해 보이지만, 4.4%로 높아져도 놀라지 않을 것이다. 연말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인플레이션 추정치는 2.5%에서 2.7%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

    ▶기자회견

    파월 의장이 "노동 시장의 하방 위험이 다소 증가했다"라고 인정하는 등 약간 비둘기파적 발언을 한 두 번 해도 놀라지 않을 것

    ▶양적 긴축(QT)

    논의하겠지만, 종료는 5월 7일 회의에서 발표될 것으로 예상

     

     

     

     

     

     

     

     

     


    > 2025년 1월  FOMC 주요내용

    시장 분위기

    ▶ 미연준 FOMC 결과 발표를 앞두고 국채 10년물 수익률은 전날보다 1bp 정도 오른 4.55% 수준에 거래되고 있었습니다. 뉴욕 증시의 주요 지수는 0.4~0.8% 내림세를 보였습니다. 그리고 FOMC 결과가 나왔습니다. 금리는 예상처럼 동결됐는데, 성명서는 예상과 달리 변경된 부분이 있었습니다. 이에 시장은 크게 반응하기 시작했습니다.

    기존 성명서에 있었던 '인플레이션이 2% 목표를 향해 진전(progress)을 이뤘다'라는 문구를 삭제하고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다소 높다"(remains somewhat elevated)라는 말만 남겨놓았습니다.

     

     

    주요 내용

    ⑴ 금리 유지=금리는 4.25~4.5%로 유지됐습니다. 결정은 만장일치로 이뤄졌습니다.

     

    ⑵ 고용 견고=성명에서 '노동 시장 상황이 전반적으로 완화하였다'라는 내용을 삭제하고 대신 "실업률은 낮은 수준에서 안정되었으며(stabilized) 노동 시장 상황은 여전히 견고하다(remain solid)"라고 바꿨습니다.

     

    ⑶ 인플레 높다=성명에서 '인플레이션이 2% 목표를 향해 진전(progress)을 이뤘다'라는 문구를 삭제하고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다소 높다"(remains somewhat elevated)라는 말만 남겨놓았습니다.

     

     

    ✅ 미국채2년물 채권 금리
    ▶ '매파적' 성명서가 나온 직후 채권 금리는 순간 3~4bp 상승했습니다. 2년물은 4.263%, 10년물은 4.593%까지 올랐죠. 그리고 증시는 하락세를 가속했습니다. S&P 500은 0.9%까지, 나스닥은 1.3%까지 떨어지기도 했습니다.

     

    ▶ 고용이 견고하고 인플레이션이 디소 높다면 금리를 내릴 이유가 없습니다. 동결이 더 길어질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 골드만삭스자산운용의 린지 로스너는 "Fed 완화 주기의 새로운 단계"라면서 "강한 데이터와 정책 불확실성 속에서 더 인내심 있는 접근 방식에 대한 여지를 제공한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프린시펄애셋의 시마 샤 전략가는 "성명에서 '인플레이션 진전'이 빠진 것은 매파적 신호지만, Fed는 단순히 데이터에 대응하려는 것이다. 다음 달 두 번 연속적인 약한 인플레이션이 나타나고 고용 성장이 약화하면 다시 금리 인하가 논의될 수 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 2025년 1월 FOMC 파월의장 기자회견 주요 내용

    ✅ 기자회견 주요내용

    ▶서두르지 않겠다

    그는 모두 발언에서 "인플레이션은 지난 2년 동안 상당히 둔화했지만, 목표인 2%에 비해서는 여전히 다소 높다. 우리 정책은 잘 정립되어 있고 경제가 여전히 강력하므로 서둘러 조정할 필요가 없다"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정책 기다린다

    첫 질문은 "금리를 내리라"라는 트럼프 발언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파월은 "대통령 말에 어떤 반응이나 논평도 하지 않을 것이다. 그것은 적절하지 않다. 대통령과 접촉한 적이 없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어떤 정책이 제정되는지 기다리고 있다. 관세, 이민, 재정 정책, 규제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알 수 없다. 우리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를 시작하기 전에 그 정책들이 구체화하여야 한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인플레 문구 삭제 "신호 아니다"

    시장이 크게 반응한 것은 '인플레 진전' 문구를 삭제한 이유에 대해 밝혔을 때입니다. 파월은 "성명서에서 '문구 정리'(language cleanup)를 했다. 우리가 인플레 진전에 대한 문구를 없앤 것은 신호를 보내려는 게 아니었다(was not meant to send a signal)"라고 친절하게 설명했습니다.

     

    ▶인하 옵션 열려있다

    파월은 "우리는 미리 정해진 방향에 있지 않다. 노동 시장이 갑자기 약화하거나 인플레이션이 크게 낮아지면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통화정책은 제약적

    그는 "'통화정책이 의미 있게 제약적'(meaningfully restrictive)이라는 평가는 바뀌지 않았다. 기준금리는 4.3%로 거의 모든 Fed 위원의 장기 중립금리 추정치보다 높다. 의미 있게 그 위에 있다"라고 했습니다. "100bp를 인하했다는 것은 더 많은 조정을 서두르지 않으리라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덧붙였지만요. 서두르지 않겠다는 말을 여러 번 했는데요. '언제 또 다른 인하가 적절한가'라는 질문에 "인플레이션에 대한 추가 진전을 시사하는 일련의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인플레 기대 상승?

    최근 높아지고 있는 인플레이션 기대에 대해서는 "단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약간 오르는 것을 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그렇지 않다고 말하고 싶다"라고 주장했습니다.

     

    ▶QT는 지속
    QT에 대해선 "최근 데이터는 은행준비금이 여전히 풍부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준비금은 QT가 시작되었을 때와 거의 같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기준금리는 목표 범위 내에서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라면서 대차대조표 축소 종료에 대해 "말할 것이 없다"라고 밝혔습니다. Fed는 작년 6월부터 국채 감축 규모를 월 600억 달러에서 250억 달러로 줄였었습니다.

     

     

     

     

     

     

     

     

     


    > 2025년 1월 FOMC 이후 주식 및 채권 시장 반응

     채권 시장 반응

    미국채10년물금리
    미국채10년물금리

     

    ▶ 오후 4시 10분께 뉴욕 채권시장에서 국채 2년물 수익률은 1.5bp 오른 4.22%를 기록했고요. 10년물 수익률은 1.1bp 내린 4.538%에 거래됐습니다. 또 달러는 ICE 달러인덱스 기준 장중 108.29까지 오르기도 했지만, 파월 기자회견이 끝난 오후 4시 16분께 0.11% 상승한 107.98에 거래됐습니다.

     

     주식 시장 반응

    뉴욕증시
    뉴욕증시

     

     오후 4시 뉴욕 증시에서는 S&P500 지수가 0.47%, 나스닥은 0.51% 하락했고요. 다우는 0.31% 내린 채 거래를 마쳤습니다.

     

    마켓맵
    마켓맵

     

     엔비디아는 4.10% 떨어졌습니다. 한때 6% 넘게 내리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AMD(+2.79%) 마이크론(+0.86%) 등 반도체 주가는 엇갈렸습니다. 매그니피선트 7도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1.09%), 테슬라(-2.26%), 아마존(-0.45%)은 내렸지만, 애플(0.46%) 메타(+0.32%) 등은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이상 2025년 3월 FOMC 파월의장 기자회견 한국시간 3월 20일 새벽 3시30분 관련 포스팅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드리며, 항상 성공투자 하시길 기원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