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2024년 7월 콘퍼런스보드 경기선행지수 LEI 및 경기동행지수 CEI
경제 데이터는 콘퍼런스보드가 발표한 7월 경기선행지수(LEI)밖에 없었습니다. LEI는 전월 대비 0.6% 하락한 100.4를 기록,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현재 월가는 제조업 중심의 이제는 LEI를 잘 보지 않습니다. 미국의 경제는 제조업은 30% 정도 차지하고 있고, 70%는 비제조업 즉, 서비스업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월가에서는 경기동행지수(CEI)를 보기도 하는데 CEI는 7월 변동이 없었습니다.
경기선행지수 LEI(Leading Economic Indicator)
✅ 주요내용
▶ 콘퍼런스보드가 발표한 7월 경기선행지수(LEI)가 발표되었습니다.
▶ LEI는 전월 대비 0.6% 하락한 100.4를 기록,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29개월 연속으로 상승이 한 번도 없었고, 팬데믹 초기인 2020년 4월 기록 100.5보다 더 낮아졌습니다.
▶ 다만 하나 긍정적 해석으로 콘퍼런스보드는 "지수는 월별로는 계속 하락하고 있지만, 지난 6개월간의 연간 증가율은 더 경기 침체를 예고하지 않는다"라고 밝혔습니다.
▶ 지수가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6개월간 2.1% 떨어졌는데, 이전 6개월(3.1% 하락)보다는 더 작은 하락 폭이라는 겁니다. 즉 과거보다 둔화세가 느려진 것입니다.
경기동행지수 CLI(Coincident Leading Indicator)
✅ 주요내용
▶ 사실 월가는 제조업 중심의 이제는 LEI를 잘 보지 않습니다.
▶ 대신 경기동행지수(CEI)를 보기도 하는데 CEI는 7월 변동이 없었습니다. 6월엔 0.2% 상승하는 등 1~7월 6개월 동안 0.9% 상승했죠.
▶ 이는 이전 6개월 0.5% 상승보다 높은 것입니다. 역시 경기가 나아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경기선행지수 vs 경기동행지수 차이 및 구성요소
✅ 경기선행지수
▶ 경기선행지수는 향후 경제 동향을 예측하는 데 사용됩니다.
▶ 특징
경기 변화를 6-12개월 앞서 예측
방향이 정해지면 그 추세가 지속되는 경향이 있음
▶ 구성 요소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주식 시장 동향, 제조업 신규 주문 등
✅ 경기동행지수
▶ 경기동행지수는 현재의 경제 상황을 나타냅니다.
▶ 특징
현재의 경제 활동을 반영
S&P500 지수, 고용 지수, 산업생산 등의 영향을 받음
▶ 구성 요소
비농업 고용, 개인 소득, 산업생산 등
투자전략
✅ 경기선행지수와 경기동행지수를 함께 분석함으로써 현재의 경제 상황과 향후 전망에 대해 더 종합적인 이해를 할 수 있으나, 최근에는 두 경제지표가 디커플링 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두 가지 지수 모두 참고해야 합니다.
▶ 선행성: 경기선행지수의 변화가 경기동행지수보다 먼저 나타남
▶ 경기침체 예측: 경기선행지수의 하락이 지속되면 이후 경기동행지수도 하락하는 경향이 있음
▶ 디커플링 현상: 최근에는 두 지수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현상이 관찰됨
▶ 해석의 중요성: 경기선행지수만으로 경기를 판단하기보다는 경기동행지수의 변화에도 주목해야 함
이상 2024년 7월 콘퍼런스보드 경기선행지수 LEI 및 경기동행지수 CEI 관련 포스팅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드리며, 항상 성공투자 하시길 기원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