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ISA 만기해지 및 연금이전 방법(feat.미래에셋증권)
미래에셋증권 중개형 ISA 만기해지 및 연금 이전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합니다. 여러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 과정과, 세금 처리 방법, 그리고 이전 절차를 간단히 정리하여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ISA 만기 해지 조건과 필수 사항
✅ ISA 만기 해지를 위한 두 가지 조건
▶ 계좌 개설로 만 3년이 경과해야 하고, 만기 해지일 기준으로 계좌에 투자 중인 종목이 없어야 한다 .
▶ ISA ETF와 한국 주식을 보유한 경우, 만기 해지하기 2영업일 전에 주식을 전부 매도.
✅ 예시
▶ 만약 2021년 5월에 ISA 계좌를 개설했다면, 2024년 5월에 만 3년이 경과
▶ 12월 5일에 계좌 해지를 계획하며, 보유 중이던 주식을 12월 3일에 모두 매도
> ISA 만기 해지
✅ 만기 해지
▶ ISA 만기 해지 및 연금 계좌 이전 절차
ISA 만기 해지는 고객센터에 전화하여 접수 후, 해지 가능 조건과 예상 세금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 .
만기 해지 신청은 전화 또는 영업점 방문을 통해 가능하며, 앱에서는 처리할 수 없다
▶ 상담원이 조건 충족 여부와 세금을 안내
세금은 200만 원까지 비과세되고, 나머지 수익에 9.9%의 분리 과세가 적용된다 .
만기 해지 처리는 신속하여 대기 시간을 제외하면 5분 정도 소요된다 .
▶ 만기 해지 후에도 계좌는 유지되지만, 추가 입금이나 투자는 불가능하고, 잔액은 연금 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
> 연금 계좌 이전 및 이체 방법
✅ 이전 방법
▶ ISA 만기 해지 후에는 원하는 연금 계좌로 자금을 이전할 수 있다 .
▶ 앱에서 직접 처리 가능하며, 고객 센터에 전화할 필요는 없다 .
▶ ISA 해지 후 연금 계좌로 이체하기 전 사전 작업이 필요하며, 연금 ISA 전환 입금 메뉴에서 신청해야 한다 .
▶ 연금 계좌와 금액을 신청한 후, 마지막으로 현금 이체를 하면 된다 .
▶ 만기 해지 후, ISA 계좌에 있는 현금을 이용해 이전 신청한 금액만큼 이체해야 하며, 이체할 때는 기존 연금 계좌 번호에 숫자 22가 붙어 있다(ISA에서 전환 입금되었다는 것을 증권사에서 관리하기 위함)
▶ 예를 들어, 300만 원을 이전 신청한 경우에는 연결된 계좌 번호가 1234-1234-1234-22가 되어야 한다 .
▶ ISA 만기 해제 후 남은 총자산 및 이전 가능한 금액 확인이 가능하다 .
✅ 주의 사항
▶ 세액공제를 받은 원금과 받지 않은 원금을 나눠서 관리함으로써 세후 연금 소득을 늘릴 수 있다
▶ 세금 공제를 받지 않은 연금계좌는 세금 없이 출금 가능
연 1800만원 입금한도 중 900만원은 세금공제(연금저축계좌+IRP), 900만원은 별도 연금 계좌 개설하여 추가 입금
> 만약 ISA 만기자금 연금전환 이벤트가 있다면 꼭 신청하자
✅ ISA만기자금 연금전환 이벤트 확인 및 신청
▶ 재가입 이벤트도 있으니 이것도 재가입하여 이벤트를 신청하도록 한다
관련 영상
이상 ISA 만기해지 및 연금이전 방법(feat.미래에셋증권) 관련 포스팅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드리며, 항상 성공투자 하시길 기원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