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ISA 3년 만기 후 3가지 투자전략 - 만기해지, 만기연장, 연금계좌 이전
ISA 계좌의 의무가입기간은 3년 후부터는 아무 때나 계좌를 해지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수익금 중 200만원은 비과세(서민형 및 농어민형은 400만원), 나머지는 9.9% 세율로 세금이 원천징수 후 돈을 받게 됩니다. 해지 시 이러한 세제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만기 경과 후 30일 이내 상품을 매도/환매하면 됩니다.
단, 세제 혜택은 계좌의 현금화가 완료되는 날(상품 매도/환매금액 입금일) 또는 만기 경과 후 30일이내 중 빠른 날까지 부여됩니다.
따라서 입금일 기준으로 잡기 때문에 30일 이내 매도/환매금액이 다 입금되어야 하므로, 이후 발생된 세금은 일반 과세 된다는 점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만기해지 외에도 만기연장, 연금계좌전환에 대한 장단점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만기 해지 - 고려사항
✅ ISA 비과세 한도를 모두 채웠는가?
▶ ISA 계좌의 비과세/분리과세 혜택은 수익이 발생한 시점에 과세를 하지 않고, 만기 시 해지할 때 딱 1번 원천징수됩니다.
▶ 그래서 만기 해지를 고려한다면 만기가 도래할 즈음에 여태껏 ISA계좌에서 발생된 전 기간의 순이익이 비과세 한도 200만원(서민형 400만원)을 넘었는지 확인해야 해요.
▶ 만약 비과세 한도를 초과했다면, 보유한 ISA 계좌는 해지하고 신규 가입해 비과세 혜택을 새로 또 받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 만기 도래 즈음 이익보다 손실이 큰가요?
▶ 반대로, 이익보다 손실이 더 클 경우도 있겠죠. 이렇게 순손실이 난 계좌는 만기 때 바로 해지하기보다는 만기를 연장한 다음 비과세 한도를 채우고 나서 재가입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어요.
✅ 소득이 많이 늘었나요?
▶ 서민형 및 농어민형 ISA 가입조건은 근로소득 5000만원, 종합소득 3800만원 이하인 경우 가능합니다. 일반형의 경우 비과세 한도가 최대 200만원인 데 반해, 서민형 및 농어민형은 비과세 한도가 400만원까지인데요. 가입 기간 중 소득이 늘어서 더 이상 소득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더라도 설정한 만기까지는 서민형/농어민형의 비과세 혜택은 유지돼요.
▶ 다만, 해지해서 추후 재가입할 경우 소득이 늘어다면 해당 유형의 ISA 계좌는 다시 못 만들어요. ISA 자격심사(소득,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는 ISA 가입과 ISA 만기 연장 시에만 심사하는데, 재가입 시점에 소득요건이 충족되지 않는다면 일반형으로 가입됩니다.
▶ 따라서, 소득요건 상 서민형/농어민형 계좌로 처음 개설된다면 애당초 계좌를 만들 때 만기를 최대한 길게 설정해두는 것이 유리합니다.
✅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 ISA 계좌는 가입일 또는 만기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 과세기간동안 1번이라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일 경우 ISA 가입 또는 만기 연장이 안됩니다. 따라서 ISA 해지 후 재가입할 경우 자격검증을 받아야 하므로 종합과세 대상자 등은 해지 시 유의해야 합니다.
▶따라서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될 우려가 있다면, 애당초 ISA 계좌를 만들 때 만기를 최대한 길게(증권사마다 다르나 9999년까지도 설정 가능) 설정해 두는 것이 유리합니다. 가입 후 의무가입기간만 지나면 언제든지 해지도 가능하고, 비과세/분리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만기 해지 - 자주하는 질문
✅ 만약, 의무가입기간 3년을 채우지 않고 해지한다면 세제 혜택은 어떻게 되나요?
▶세제 혜택을 전혀 받지 못하고, 일반 과세 15.4% 됩니다.
✅ 만약, 아직 만기 전이지만 의무가입기간 3년은 채우고 해지한다면 세제 혜택은 어떻게 되나요?
▶3년만 채웠다면, 언제든 만기 전에 중도해지하더라도 세제 혜택(비과세 200만원, 9.9% 저율분리과세)을 받을 수 있어요.
✅ 만기가 지나면 자동으로 해지 되나요?
▶ 아니요. 만기일이 지났다고 해서 자동으로 해지(매도)되지는 않아요. 직접 만기일 경과 30일이내 상품 매도/환매해 현금화해서 해지하셔야 해요.
✅ 해지는 어떻게 하면 되나요?
▶금융사마다 상이하나, 삼성증권의 경우 ISA 계좌는 세제 상 온라인(모바일/홈페이지) 통해서 처리가 불가합니다. 따라서 삼성증권 콜센터 혹은 지점 방문을 통해 신청하셔야 합니다.
※ 1588-2323(삼성증권 관련 콜센터) → 0번 상담원 연결→ 9번/4번
✅ 해지하고 바로 신규가입 되나요?
▶ISA 계좌를 해지해도 새로운 ISA 계좌를 당일에 또 만들 수 있습니다.
✅ 납입한도를 다 못 채웠는데, 해지해도 될까요?
▶ ISA 계좌에 납입할 수 있는 돈은 최대 연 2000만원으로, 최대 1억원까지 투자할 수 있는데요. 특히 연 2000만원 한도를 못 채웠다더라도 다음 해로 한도가 이월돼요. 예를 들어 2021년에 ISA 계좌에 가입하고 올해까지 한 푼도 납입하지 못했더라도, 3년치 6000만원을 한꺼번에 넣을 수 있어요. 그래서 해지하기 전에 납입한도를 최대한 채워서 해지하는 것이 절세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 만기가 지나 해지가 끝난 ISA 계좌는 자동으로 없어지나요?
▶ 아니요. 자동으로 없어지지 않아요.
▶ 계좌 해지로 매도/환매해 현금화는 했지만, 계좌 폐쇄를 안 했다면 계좌번호는 여전히 남아있게 되죠.
▶물론, 매도/환매를 다 해도 계좌가 사라지는건 아니니 5년이고 10년이고 쭉 가져갈 수 있지만 만기가 끝난 ISA 계좌는 신규 매수도 안 되고 보유/매도만 가능해요.
▶ 이에 아예 삭제(?)하시려면 폐쇄 신청하시면 됩니다. 폐쇄 신청은 증권사마다 프로세스는 상이하나, 삼성증권의 경우 계좌 폐쇄는 1588-2323 전용 콜센터에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 계좌 폐쇄는 해지 후 바로 해도 되나요?
▶아니요. 보유했던 상품에 대한 배당금, 이자 등은 기존 ISA 계좌로 들어와요. 그래서 받아야 할 배당금, 이자 등이 있다면, 계좌 폐기는 받고나서 해주셔야 해요.
▶ 만약 받아야 할 배당금이 있는데 계좌를 폐쇄한 경우라면, 지점을 방문을 통해 배당금을 지급받아야 합니다.
만기 연장 - 고려사항
만기 연장은 만기일의 3개월 전부터 가능합니다. 하지만, 만기 연장 시에도 몇가지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 서민형 ISA 가입자인가요?
▶ 만기 연장 시 소득이 늘어 근로소득 5000만원, 종합소득 3800만원을 초과했다면 일반형으로 바꿔 연장해야 해요.
▶ ISA 자격검증(소득,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여부 등)은 ISA '가입'할 때와 '연장'할 때만 심사해요.
▶ 따라서, 연장할 때 심사가 들어가기 때문에 소득 요건 미 충족 시 일반형으로 바꿔 연장돼요. 이렇게 되면 세제혜택은 일반형 세제혜택이 적용돼 비과세 한도가 40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축소되요.
▶ 주의할 점은 연장 시 세제혜택 적용시점은 만기연장일부터가 아닌 최초계약일부터 적용돼요. 따라서 만기 연장 시 서민형에서 일반형으로 바뀐다면, 서민형 ISA 는 만기 연장이 아닌 해지를 해서 서민형 비과세 한도 400만원을 받고, 해지 후 일반형으로 재가입해서 200만원 한도로 별도로 받는 것이 유리할 수 있어요.
✅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인가요?
▶ 가입일 또는 만기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 과세기간동안 1번이라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일 경우 ISA '가입'과 '만기 연장'이 안돼요.
▶ 계좌 만기일이 다가오는데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되었다면, 만기까지 보유했다가 해지하시고 추후 자격 요건 충족 시 재가입하셔야 해요.
▶ 물론 가입기간 중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되어서도 비과세, 분리과세 혜택은 계속 적용돼요. 따라서 의무가입기간 3년만 지나면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여부 상관없이 해지하더라도 세제 혜택은 누릴 수 있어요.
만기 연장 - 자주하는 질문
✅ 만기 연장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 증권사마다 프로세스는 상이하나, 삼성증권의 경우 모바일 어플로는 연장 신청이 불가합니다.
- 홈페이지: 온라인지점→고객/계좌정보 관리→계좌정보→계좌정보 조회/변경
- HTS: [7094] 계좌정보 조회 및 변경
- 패밀리센터 및 지점: 패밀리센터 전화(1588-2323) 및 지점 방문
✅ 만기 연장 신청은 몇년까지 할 수 있나요?
▶ 증권사마다 상이하나, 삼성증권의 경우 만기 연장은 1년 단위로 최대 90년까지 횟수 제한 없이 연장 가능합니다.
✅ 만기 연장을 깜빡했어요. 어떻게 하면 될까요?
▶ 만기 경과 후 30일 이내 상품 매도/환매해 현금화해서 세제혜택을 받거나 연금 전환해서 세제혜택을 받으면 돼요.
▶ 만기 연장을 하지 않고 만기가 경과된 경우에도 세제 혜택은 받을 수 있어요. 만기 경과 후 30일 이내 상품을 매도/환매만 하면 돼요.
▶ 단, 상품 매도/환매금액이 입금되는 날을 기준으로 잡기 때문에, 30일 이내 매도/환매금액이 다 입금돼야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또한 연금 전환은 만기 경과 후 60일 이내만 하면 되기 때문에 연금 전환해서 세제혜택을 받을 수도 있어요.
✅ 종목 매도해서 현금화 했는데, ISA 계좌는 자동으로 없어지나요?
▶ 아니요. 자동으로 없어지지 않아요.
▶ 만기 연장을 안 한채로 만기일이 경과된 계좌의 경우 계좌 해지로 매도/환매해 현금화는 했어도 계좌 폐쇄를 안 했다면 계좌번호는 여전히 남아있게 되죠. 매도/환매를 다 해도 계좌가 사라지는건 아니니 5년이고 10년이고 쭉 가져갈 수는 있지만 만기가 끝난 ISA 계좌는 신규 매수도 안 되고 보유/매도만 가능해요.
▶ 이에 아예 삭제(?)하시려면 폐쇄 신청하시면 됩니다. 폐쇄 신청은 증권사마다 프로세스는 상이하나, 삼성증권의 경우 계좌 폐쇄는 1588-2323 전용 콜센터에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 단, 기존에 보유했던 상품에 대한 배당금, 이자 등은 기존 ISA 계좌로 들어와요. 그래서 받아야 할 배당금, 이자 등이 있다면, 계좌 폐쇄는 받고나서 해주셔야 해요. 만약 받아야 할 배당금이 있는데 계좌를 폐쇄한 경우라면, 지점을 방문을 통해 배당금을 지급받아야 합니다.
연금계좌 이전 고려 사항
- 중개형 ISA는 다른 금융 상품에서는 볼 수 없는 ‘연금 전환 절세 혜택’이 있습니다.
ISA를 해지한 이후 60일 이내에 연금 계좌(연금저축+IRP)로 돈을 이체하면, 최대 300만원(납입액의 10%) 세액공제 혜택이 추가로 주어지게 되어 원래 연금 세액공제 한도는 최대 연 900만원인데, ISA를 활용하면 1200만원까지 늘어나게 할 수 있습니다.
- ISA 만기 자금은 최대 1억원까지 전액 연금 계좌로 이체할 수 있지만, 세액공제 한도까지만 챙기기 위해 3000만원만 옮기는 사람들이 많다.
✅ 만약 3000만원을 연금 계좌로 이체한다면, 납입액의 10%인 300만원에 대해 세액공제(13.2~16.5%)를 받아서 연말정산 때 본인 소득에 따라 40만~50만원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 세액공제 추가 한도는 해당 연도에만 적용받을 수 있으니, 연말정산 때 잊지 말고 신청해야 합니다.
✅ “3000만원을 연금 계좌에 넣는 경우, 첫해에는 추가 세액공제 300만원을 적용시키고, 절세 혜택을 받지 못한 나머지 2700만원은 이듬해에 전액 인출하거나 세액공제 적용 시기를 뒤로 미뤄서 나중에 세액공제를 받을 수도 있다”
▶ 즉 추가로 돈을 넣지 않고도 매년 900만원씩 일반 납입금으로 인정 받아 3년에 걸쳐 연금 세액공제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 이 경우 역시 본인 소득에 따라 약 356만~446만원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 결론적으로 ISA 만기 자금 3000만원을 연금 계좌로 옮기면 1년차에는 300만원에 대해 50만원을 돌려받고, 이어 3년 동안 446만원을 돌려 받아 최대 496만원 환급이 가능합니다.
이상 ISA 3년 만기 후 3가지 투자전략 - 만기해지, 만기연장, 연금계좌 이전 관련 포스팅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드리며, 항상 성공투자 하시길 기원합니다.
댓글